
[뉴스써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환경부, 해양수산부는 천리안위성 2B호(환경위성)의 아시아 대기질 관측영상 대국민 서비스를 22일부터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위성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개시한다고 밝혔다.
이번에는 우선 검증수준이 높은 이산화질소, 에어로졸(Aerosol Optical Depth), 오존, 유효 운량, 자외선 관련 산출물 3종 등 총 7종의 영상을 실시간 제공하고, 화산분화 등 재난 발생 시에는 이산화황 영상까지 총 8종의 산출물 영상을 제공한다.
대표적 산출물 중 하나인 이산화질소 농도 영상은 주로 자동차, 화력 발전소 등에서 내연기관 연소과정을 통해 발생하며, 장기 노출 시 기관지 질환 등을 유발하고, 오존 및 에어로졸 생성에도 기여하는 오염물질이다.
또한, 이산화황 농도 영상은 한반도를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 화산폭발, 산불 등으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 감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에어로졸 영상도 공개되는데, 지표부터 하늘(일반적으로 성층권)까지의 대기오염물질을 보여주는 것이므로 지상관측 수치와는 다를 수 있다.
이번 대기질 관측영상들은 PC 화면으로만 영상을 제공되지만, 대국민 위성 자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올해 하반기부터는 모바일에서도 확인 가능하도록 위성자료 서비스 체계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환경위성센터는 이번에 1차로 공개한 대기오염물질 영상 이외에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오존 및 광화학스모그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포름알데히드(HCHO), 글라이옥살(C2H2O2)의 농도 영상 등도 순차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천리안위성 2B호는 지난해 2월 19일 발사되어 우주궤도상에서 상태점검을 거쳤으며, 2020년 11월부터는 환경위성센터를 중심으로 대기질 관측영상 검증 및 영상공개 서비스 체계 구축 등을 추진 중이다.
한편,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10월부터 해양위성의 영상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금년 1월부터 일반 국민들이 쉽고 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위성영상 이미지를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를 통해 서비스하고 있다.
[저작권자ⓒ 뉴스써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