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인권 문제 발생 시 대부분 ‘그냥 참았다’고 답변하는 등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청 직원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실태조사는 이번이 처음으로 인권침해 및 갑질·성희롱 등 인권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경기도는 인권친화적인 공직문화 조성을 위해 지난 10월 2주간 공무원과 소방공무원, 공무직 등 도청 직원 3,052명을 대상으로 ‘경기도청 인권상황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인권보장 수준’의 경우 전체 응답자의 48.1%가 높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고 15일 밝혔다.
그러나 조직문화 부분에서는 전체의 44.3%가 ‘상명하복 분위기가 강하다’고 평가했다.
일터 내 인권침해 경험을 유형별로 질문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39.1%가 성별·종교·장애·나이 등에 의한 차별을 경험했다고 응답했고 그다음으로 표현의 자유 침해, 사생활 침해, 신념/양심에 어긋나는 행동 강요 순으로 나타났다.
갑질의 경우 응답자의 25.8%가 언어적 괴롭힘을 경험했다고 응답했고 그다음으로 업무적 괴롭힘, 업무 외 괴롭힘 순으로 나타났다.
성희롱 경험은 언어적 행위, 육체적 행위, 시각적 행위 순으로 조사됐다.
인권침해 및 갑질 경험 시 어떻게 대응했는지 각각 질문한 결과 ‘그냥 참았다’라는 응답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사건 발생 시 가장 필요한 조치는 ‘신속하고 공정한 대응’이라고 응답했다.
또한, 갑질 예방을 위해 필요한 사항은 ‘기관장/관리자의 갑질 인식 강화’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이어서 갑질 실태조사 정례화, 상호존중 캠페인 순이었다.
경기도 관계자는 “이번 인권상황 실태조사는 그 자체로도 조직 구성원들이 인권 문제에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됐을 것”이라며 “인권보장체계 구축과 피해자 지원 등 평등하고 평화로운 공직문화 조성을 위해 더욱 힘쓰겠다”고 말했다.
경기도 인권담당관실은 올해부터 매년 인권상황 실태조사를 실시해 정례화하고 인권·민주주의 카드뉴스 배포, 상호존중 캠페인 등 인권친화적인 공직문화 조성을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뉴스써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