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의료데이터 혁신 토론회’는 의료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위한 현장 의견을 경청하고 정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2021년 4월부터 개최됐으며 올해 5회차를 맞았다.
오늘 토론회는‘보건의료데이터 가치 창출을 위한 활용사례 공유’를 주제로 3개의 발표 및 패널토론을 진행한다.
기조 발표는 서울대학교병원 지의규 교수가 ‘보건의료데이터 활용 동향 및 가치 창출 방안’에 대해 발표한다.
지의규 교수는 국내·외 보건의료데이터를 축적·활용하고 있는 사례를 소개하고 보건의료데이터 관련 주요 정책 동향을 설명하며 데이터의 생산/수집, 집적, 활용의 3단계 생애주기에 따른 보건의료데이터 활용가치 제고 방안을 제시한다.
첫 번째 발제는 국립암센터 최귀선 센터장이 ‘보건의료 분야 가명정보 결합 활용 사례’에 대해 발표한다.
폐암 환자의 중장기 생존율 및 사망원인 분석을 위해 폐암 환자의 임상정보, 급여청구정보, 사망원인정보를 결합한 연구성과를 소개하고 암환자 합병증 및 만성질환을 예측하기 위해 암환자 및 일반환자의 임상정보, 장기추적 관찰 진료정보를 결합해 암종별로 일반환자 대비 합병증 발생 증가율을 도출했다을 설명한다.
두 번째 발제는 연세대학교 유승찬 교수가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분산 연구 네트워크 활용 사례 및 연구 성과’에 대해 발표한다.
유 교수는 개인식별정보의 직접적인 활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 의료기관이 데이터를 가명화, 표준화한 후 요청사항 송신을 통해 익명화된 결과만을 공유하는 안전한 의료빅데이터 활용 방안을 소개하고 국내 다수 병원에서 공통데이터모델을 구축했으며 이를 활용한 연구가 매년 늘어나고 있음을 설명한다.
이어지는 패널토론에서는 분당서울대병원 이호영 교수를 좌장으로 해 의료계·학계, 산업계 등과 함께 보건의료데이터의 안전한 활용 활성화 방안을 논의한다.
정은영 보건산업정책국장은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을 위해서는 신약·의료기기 개발, 의료 혁신 등 전 분야에 걸쳐 보건의료데이터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활용 방안 마련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면서 “오늘 토론에서 실시된 우수사례 공유와 각계 전문가들의 다양하고 심도 있는 논의가 보건의료데이터의 안전한 활용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이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뉴스써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