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별영향평가는 정책이 성별에 미치는 영향과 성차별 발생 원인 등을 체계적·종합적으로 평가해 합리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실질적인 양성평등 실현을 목적으로 운영되는 제도다.
여성가족부가 주관하는 성별영향평가 유공 포상은 성별영향평가제도 활성화에 기여한 기관 및 유공자를 포상해 관계자 사기 진작과 양성평등한 정책을 확산하기 위해 실시된다.
올해는 총 306개의 기관을 대상으로 평가가 실시됐다.
평가지표는 성별영향평가 실시 및 정책개선 정도 성별영향평가교육 및 제도화 수준 종합결과보고서 작성 충실성 및 우수성 등 정량·정성평가를 포함한다.
고양시는 성별영향평가 제도의 전문적 운영과 효과성 제고를 위해 2014년부터 전문인력을 채용해 법령의 제·개정, 정책의 기획 등 법령에 따라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양성평등 관점을 통합하는‘성주류화 조치’를 적극 이행하는 한편 공무원 대상 컨설팅 및 교육을 지속적으로 강화했다.
그 결과 성별영향평가 추진 건수가 2016년 총 161건에서 2021년 총 259건으로 60% 이상 확대됐을 뿐만 아니라 정책개선율도 2018년 33%에서 2021년 56%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또한 2020년부터 전문가로 구성된 성별영향평가위원회를 구성해 성별영향평가 대상과제 선정 및 정책개선 사례를 심사하는 등 성별영향평가제도 운영 및 개선에 힘쓰고 있다.
[저작권자ⓒ 뉴스써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