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내 642곳 공중화장실 가운데 관리기관이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은 하천변과 산책로 주변 화장실 53곳이 대상이다.
시는 우선 청소인력을 2개 조에서 5개 조로 늘려서 운영한다.
화장실 청소 주기도 주 2~3회에서 1일 1회 운영하기로 했다.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인건비와 차량구입비 등 예산은 기존 7억원에서 5억원 늘어난 12억원을 편성한다.
개별 화장실마다 일관된 편의시설을 제공하는 등 체계적인 화장실 관리를 위해 ‘공중화장실 운영 관리 매뉴얼’을 제작해 각 관리처에 배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매뉴얼에는 공중화장실 설치 절차와 인허가 관련 사항부터 비상벨 고장 여부, 불법 촬영 카메라 설치 여부 등 안전 관리 점검 강화 등에 대한 운영 요령을 담는다.
시 관계자는 “시민들이 깨끗하고 쾌적한 공중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청결과 위생관리를 더욱 강화하겠다”며 “특히 악취와 안전에 세심하게 신경을 써 시의 화장실 문화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뉴스써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