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케이메디허브 R&D 전년比 12% 증가

이한결 기자 / 기사승인 : 2023-03-02 15:25:18
  • -
  • +
  • 인쇄
2022년 연구개발비 407억 원 수주하면서 양적·질적 성장
▲ 대구시 케이메디허브 R&D 전년比 12% 증가

[뉴스서치] 케이메디허브가 22년 수주한 연구개발비가 전년 대비 12% 양적 성장했다.

연구개발비 규모의 성장과 함께 케이메디허브는 디지털헬스케어, 합성신약 등 다양한 R&D 사업들을 주도하면서 국내 기업을 견인하는 질적 성장도 하고 있다.

2022년 케이메디허브 연구개발비 수주금액은 407억 원 규모다.

이는 전년대비 12% 성장한 수치이며, 특히 신약과 첨단의료기기 개발을 지원하는 대형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수탁하여 양적·질적으로 모두 성장세를 보였다.

케이메디허브는 지난해 합성신약개발 산학연계지원사업(6년, 250억 원 규모), 디지털헬스케어 의료기기 실증 플랫폼 구축사업(5년 150억 원)과 차세대 의료연구기반 육성사업(3년, 122억 원) 등을 수주했다.

이는 양진영 이사장이 실적에 따라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직접 성과를 챙기며 동기부여하고 전 직원이 합심해 만들어 낸 결과물이다.

케이메디허브는 신약개발 분야에서 합성신약개발 산학연계지원사업과 백신 및 면역증강제 개발지원사업을 통해 기업과 공동연구를 수행하게 됐다.

합성신약개발 산학연계지원사업(6년, 250억원 규모)은 케이메디허브가 주축이 되어 대학·출연(연)의 기초연구성과를 사업화할 수 있도록 후보물질 최적화를 지원하고, 바이오기업의 파이프라인과 연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백신 및 면역증강제 개발 지원사업(3년, 30억 원)은 대학·병원·연구소 등의 기초연구결과를 활용해 백신 및 면역증강제 후보물질 개발을 지원하고, 우수한 기술을 기업에 소개하는 산학연 연계사업이다.

이러한 사업은 학계의 기초연구성과를 산업계로 이어주는데 케이메디허브가 구심점 역할을 하는 사업이라 할 수 있다.

첨단의료기기연구개발분야에서는 디지털헬스케어 의료기기 실증 플랫폼 구축사업과 병원-기업 협력 공동사업화기반 수요연계형 기술개발사업을 맡게 됐다.

디지털 헬스케어 의료기기 실증 플랫폼 구축사업(5년 150억원)은 식약처 인허가가 완료된 국내 소프트웨어 기반의 디지털 헬스케어 진단·치료기기의 세계시장 진입을 위해 인프라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병원-기업 협력 공동사업화기반 수요연계형 기술개발사업(5년, 약104억 원)은 케이메디허브 인프라와 병원 내 의료인이 연계해, 기업의 국산 의료기기 제품의 인허가 및 보험등재를 통해 첨단의료기기의 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또한 차세대 의료연구기반 육성사업(3년, 122억 원) 수요기반 기술 서비스 지원을 통해 맞춤형 전임상, 의약 생산 지원을 하면서 의료제품의 사업화 상위 단계 진입을 지원한다.

1차년도였던 22년에는 AI기반 영상행동학적, 병리학적 평가법을 확립하고, 학습 데이터 수집과 이미지 인식 기술 기반을 확보하는 등 AI를 의료산업으로 연계하기 위한 선제적 기술 지원을 수행했다.

연구개발에 집중하면서도 의약품 설계기반 품질고도화(QbD) 제도 도입기반구축사업과 식약처 심사자 교육을 수탁해 공공연구기관으로 케이메디허브의 공공성을 높이는 사업도 병행했다.

양진영 케이메디허브 이사장은 “미래를 선도하는 의료산업 허브라는 케이메허브의 비전에 발맞춰 연구개발사업 또한 충실하게 양적, 질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라며 “지난해 수주한 내실 있는 기업지원 사업을 활용하면서 케이메디허브가 의료산업 기초연구와 기업 사업화 연계의 구심점으로 자리잡도록 파급력을 확장시킬 것이다”라고 포부를 전했다.

[저작권자ⓒ 뉴스써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